![]() |
제품디자인은 제품의 외양뿐만 아니라 제품의 경제적 측면에서의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오늘날에는 이에 더하여 사회문화적 가치의 창출을 통해 보다 풍요롭고 윤택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하여 제품디자인의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인 경험의 균현을 갖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전공사무실 전화번호_02.910.5153 |
이수구분 | 교과과정 | 학점 |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
디자인 비즈니스론 제품시스템 디자인 스마트 제품디자인 메카트로닉스 디자인 뷰티용품디자인 패러매트릭 조형 에듀테인먼트 제품디자인 연구세미나 디자인기획론 사용환경과 사용자경험디자인 인터랙션 디자인 디지털 메쉬디자인 디자인관리론 인간공학론 |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
Problem/Project Based Learning, Flipped Learning, Design Thinking, Gamification 등의 혁신적 교육 방법을 학습하고, 새로운 융합 교육 방법을 고안하고 실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한다.
제품서비스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와 라이프사이클, 과업분석방법을 학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중심의 제품서비스시스템 설계이론을 이해하고, 실천적인 디자인과정을 경험한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실현되어가는 지능형 제품과 그 사용환경에 대해 학습하며, 이를 통해 스마트제품의 구성요소, 개발 이슈, 트랜드를 파악하고, 미래의 스마트제품을 설계한다.
회로장치, 로봇 제어시스템과 같은 기계공학과 전자공학의 융합 분야인 메카트로닉스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경험한다. 로봇디자인과 같은 미래유망 분야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며, 이를 통해 공학분야와의 협업능력이 우수한 디자이너를 양성한다.
미용 기기 및 용품, 뷰티산업 관련 서비스 등에 요구되는 디자인 능력을 학습한다. 감성공학, 심리학 등 인간과 제품의 상호교감에 요구되는 각종이론에 바탕하여 현행 제품과 시장을 분석하고 이를 상품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실험을 진행한다.
글래스호퍼, 프로세싱 등과 같은 페러매트릭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학습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조형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특히 3D 프린팅으로 가능한 조형의 확장성을 경험하며, 이를 산업디자인에 적용할 경험을 축적한다.
놀이와 교육이 통합된 에듀테인먼트 제품을 분석하고, 어린이의 심리적 신체적 특성, 놀이와 흥미를 일으키는 요인에 대한 파악, 교육과 학습의 원리를 바탕으로 어린이를 사용자로 하는 제품에 대해 이해한다.
디자인학 연구를 위한 조사, 분석, 실험방법과 연구논문 작성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공분야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있는 논제를 연구 주제로 하여 창의적인 연구결과를 도출 발표한다.
제품디자인 기획을 상품기획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제품 정책과 전략, 개발조직과 개발과정과 관련된 제반 관련이론을 터득한다. 이와 함께 제품개발 기획의 주요 요소로서 디자인 마케팅의 효과적 전개를 위한 이론과 방법이 사례와 함께 연구된다.
제품과 사용자의 상호작용과 이를 둘러싼 제품 사용환경의 변화 양상에 대해 이해하고, 사용자경험을 최적화, 극대화하기 위한 디자인이론과 방법을 학습한다. 제품을 너머 인터랙션과 사용자경험으로 확장되는 디자인 대상에 대해 이해하며, 그에 적합한 디자인 및 조사방법을 익힌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제품의 인지심리학적 측면, 인간공학적 측면을 이해하며, 이를 토대로 피지컬 컴퓨팅의 이론적 기초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시스템 및 미디어를 개발하며 워킹 프로토타입 제작을 경험한다.
디자인 프로세스와 관리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제의 디자인문제 해결과정에 응용하여 봄으로서, 디자인과정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을 이해하고 컴퓨터를 디자인관련 제작업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인하우스 디자인부서와 디자인 전문회사 조직에서 창조적이고 효과적인 디자인 전개를 위하여 필요한 제반 디자인관리 이론이 실제 사례와 함께 연구된다. 특히 디자인정책과 디자인 부서관리, 프로젝트 조직 및 과정관리 등이 강조된다.
인간과 기계, 인간과 작업 공간, 인간과 환경 등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디자인 프로세스 상에서 결함이 있는 시스템의 개선, 적용방향 및 개념에 대한 실질적 능력을 확립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