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하지 않는 투명한 물성을 가진 유리는 인간 생활의 기본 3요소인 의식주에 아주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식생활과 주생활에서 그 실용적 사용 가치가 큰 물질이다. 소득수준의 향상과 인테리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커짐에 따라 유리를 사용한 테이블 웨어, 조명, 가구 등 실용적 아이템에 대한 관심도와 수요기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현대 건축에 있어서 효과적인 장식요소로 사용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어 호텔, 쇼핑몰, 공항, 병원 등 대형건물만이 아니라 사무실 및 일반 주거공간에도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평면, 부조, 입체 등 다양한 방식으로의 유리 설치물의 응용이 보여지고 있다. 본 전공은 이러한 리빙 분야 및 건축 분야의 다양한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양성을 교육목표로 두고 실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교육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
이수구분 | 교과과정 | 학점 |
전공필수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전공선택 |
리빙글라스 Ⅰ 리빙글라스 Ⅱ 아키텍쳐 글라스 Ⅱ 유리장식디자인 퍼블릭 아트 유리재료 및 기법연구 컴퓨터응용디자인 유리조형디자인 디자인트렌드연구 유리마케팅 및 세미나 논문연구 논문연구 |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
리빙글라스 영역에 있는 유리 조명, 테이블 웨어, 트로피, 유리 가구 등에 응용 가능한 디자인과 제작공정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과정으로 이론과 실기병행 수업이다.
리빙글라스 I 과 연계되는 수업으로 좀 더 실용적이고 독창적인 아이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실기와 토론 수업을 통해 심도 있게 유도한다.
아키텍쳐 글라스 I 과 연계되는 수업으로 좀 더 심도 깊게 발전시켜 주어진 건축적 공간에 실제로 설치 가능하게 전개한다.
테이블 웨어 및 건축적인 유리조형에 나타나는 시대적으로 나누어 유리장식을 연구하고 이를 발전시켜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학생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수업이다.
유리의 물성을 이용하여 공공장소에 설치 가능한 환경 조형물을 연구 제작하는 수업으로 LED조명, 금속, 돌 등 다른 매체와의 다양한 융합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유리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여러 제작기법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제품 개발로 응용 발전 시킨다.
컴퓨터 조형의 기초지식을 습득하며 이를 응용하여 유리의 산업적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유리재료가 가진 독특한 성질과 물리적 성격을 이론과 다양한 작업을 통해 이해하고 습득하여 유리 디자인 및 조형작업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키는 수업을 진행한다.
리빙& 아키텍쳐 글라스 디자인의 역사적인 배경과 현대적인 경향분석을 통해 글로벌 마켓에 접근 할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세미나 형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대 사회에서 상업적으로 접근 가능한 유리디자인의 영역을 분석하고 사회적인 필요성을 인식하여 기존 마켓과 새로운 마켓에 대하여 연구하는 수업이다.
졸업 논문의 주제설정과 이에 필요한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그리고 작문법을 지도하여 창의적인 연구와 완성도 있는 학위논문을 구현한다.
개인 과제연구 작업에 따른 연구계획 논문의 형식과 논리의 전개, 자료수집 처리 등 논문 작성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익히고 연구한다.